2025년 연봉 실수령액 계산기

당신의 진짜 연봉 실수령액을 계산해 보세요!








2025년 연봉 실수령액, 어떻게 계산할까? 완벽 가이드

많은 직장인들이 한 번쯤 궁금해하는 주제 중 하나가 바로 연봉 실수령액입니다. 2025년 기준으로 내가 실제로 월급통장에서 받는 돈이 얼마인지 정확하게 알고 싶다면, 아래 과정을 따라하면 쉽고 명확하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!

1. 연봉과 월급 개념 이해

  • 연봉: 회사에서 1년 동안 계약한 총 급여(세전, 즉 세금 및 4대보험 공제 전 금액)
  • 실수령액: 세금과 4대보험 등 각종 공제 항목을 차감한 후 실제로 통장에 들어오는 금액

예시: 연봉 50,000,000원(오천만원)이라면 한 달 세전 월급은 50,000,000 ÷ 12 = 4,166,667원

2. 4대 보험료 계산 (2025년 최신 기준)

4대 보험은 다음 네 가지입니다.

  • 국민연금: 월 과세소득의 4.5%
  • 건강보험: 월 과세소득의 3.545%
  • 장기요양보험: 건강보험료의 12.81%
  • 고용보험: 월 과세소득의 0.9%

단, 월 소득에서 비과세 항목(식대, 교통비 등)을 뺀 과세소득에만 보험료가 부과됩니다.

3. 소득세 및 지방소득세 간단 산출법

소득세는 가족수, 월급 등에 따라 복잡하게 계산되지만, 보통 아래 근사방법을 사용합니다(실제 근로소득 간이세액표와는 오차 존재).

  • 월급 1,300,000원 이하: 소득세 없음(공제액 내)
  • 1,300,000원 초과 ~ 2,000,000원 이하: (월급 – 1,300,000) × 8%
  • 2,000,000원 초과 ~ 3,500,000원 이하: (월급 – 2,000,000) × 10% + 20,000
  • 3,500,000원 초과: (월급 – 3,500,000) × 15% + 80,000
  • 지방소득세: 산출된 소득세의 10%

4. 전체 월 공제액 계산 공식

공제총액 = 국민연금 + 건강보험 + 장기요양보험 + 고용보험 + 소득세 + 지방소득세

5. 실수령액 최종 계산

실수령액 = (월급여 – 월 비과세액) – [4대 보험 + 세금 등 공제액]

6. 예시로 계산해보기

  • 연봉: 50,000,000원
  • 월 비과세액: 200,000원
  • 부양가족 수(본인 포함): 1명

① 세전월급: 50,000,000 ÷ 12 = 4,166,667원
② 월 과세소득: 4,166,667 – 200,000 = 3,966,667원

항목계산 방법금액(원, 반올림)
국민연금3,966,667 × 0.045178,500
건강보험3,966,667 × 0.03545140,533
장기요양보험건강보험료 × 0.128118,007
고용보험3,966,667 × 0.00935,700
소득세(3,966,667-3,500,000)×0.15+80,000150,000
지방소득세소득세 × 0.115,000
공제합계합산537,740
실수령액3,966,667 – 537,7403,428,927

7. 더 쉽고 빠르게? 실수령액 계산기 활용법

HTML 코드(또는 계산기 프로그램)에 위의 공식과 번호를 적용하면, 연봉과 비과세, 가족 수만 입력해도 실수령액을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“연봉, 미리 계산기로 입력 → 계산하기 클릭 → 실수령액과 공제내역 자동 표시”

8. 마치며

2025년 연봉 실수령액 계산은 공식만 익히면 누구나 손쉽게 할 수 있습니다.
꼼꼼하게 본인 상황(비과세, 가족 수 등)을 반영하면 실제 월급과 거의 차이 없는 금액을 미리 확인할 수 있어 연봉협상, 이직, 재테크 설계에도 큰 도움이 됩니다!

댓글 달기

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. 필수 필드는 *로 표시됩니다

위로 스크롤